Sounds of Silenc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Sounds of Silence)는 사이먼 앤 가펑클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1966년에 발매되었다. 앨범은 1965년 12월에 녹음되었으며, 톰 윌슨의 아이디어로 오버더빙된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 싱글의 성공 이후 제작되었다. 앨범에는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 "아이 엠 어 록"과 같은 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앨범 커버는 프랭클린 캐니언 공원에서 촬영되었다. 앨범의 오리지널 버전과 영국 버전, 그리고 CD 재발매 보너스 트랙의 곡 목록이 존재하며, 앨범은 영국과 미국 차트에서 순위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이먼 & 가펑클의 음반 -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은 사회 비판적 메시지, 실험적인 사운드, 전통과 새로움의 조화가 특징인 사이먼 & 가펑클의 1966년 앨범으로, 평론가의 호평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사이먼 & 가펑클의 음반 - Bridge over Troubled Water
《Bridge over Troubled Water》는 1970년 발매된 사이먼 & 가펑클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으로,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평가를 동시에 얻었으며, 대표곡들을 통해 포크 록에서 벗어난 실험적인 사운드를 탐구했지만, 앨범 발매 후 그룹은 해체되었다. - 1966년 음반 - Hums of the Lovin' Spoonful
Hums of the Lovin' Spoonful은 팝, 컨트리, 저그 밴드, 블루스, 포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러빈 스푼풀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자 초기 라인업의 마지막 정규 음반으로, 〈Summer in the City〉의 상업적 성공과 다양한 커버곡들을 탄생시켰다. - 1966년 음반 - Blonde on Blonde
1966년 발매된 밥 딜런의 더블 앨범 Blonde on Blonde는 포크 록 스타일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Rainy Day Women ♯12 & 35", "Visions of Johanna", "I Want You" 등의 대표곡을 수록, 평단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둔 1960년대 록 음악의 중요한 작품이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Sounds of Silenc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가수 | 사이먼 & 가펑클 |
음반 종류 | 정규 음반 |
발매일 | 1966년 1월 17일 |
녹음 | 1964년 3월 10일 ("The Sound of Silence" 반주 트랙) 1965년 4월 5일 ~ 12월 22일 (뉴욕시 컬럼비아 7번가 스튜디오) |
장르 | 포크 록 |
길이 | 29분 09초 (오리지널반), 41분 46초 (2001년 리마스터 CD) |
레이블 | 컬럼비아 레코드 |
프로듀서 | 밥 존스턴, 톰 윌슨 |
이전 음반 | 수요일 아침 3시 (1964년) |
다음 음반 |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앤 타임 (1966년) |
싱글 | |
싱글 1 | The Sound of Silence (1965년 9월 12일) |
싱글 2 | Homeward Bound (1966년 1월 19일) |
싱글 3 | I Am a Rock (1966년 5월) |
평가 | |
올뮤직 | 링크 |
레코드 미러 | 링크 |
차트 성적 | |
영국 | 13위 |
미국 (1968년) | 21위 |
2. 음반 제작 배경
1965년 4월, 톰 윌슨은 "아무도 없어"와 "어서 가자" 두 곡을 프로듀싱했지만, 이 무렵 사이먼 앤 가펑클은 사실상 활동을 중단했고 폴 사이먼은 영국에서 솔로 활동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톰 윌슨은 밴드 편성을 추가하여 오버 더빙한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 싱글 버전을 발표했고, 이 곡이 크게 히트하자 폴 사이먼은 미국으로 돌아와 아트 가펑클과 함께 활동을 재개했다.[10]
1965년 12월, 밥 딜런의 『Highway 61 Revisited』를 제작한 밥 존스턴의 프로듀싱으로 11곡이 녹음되었다. 갑작스러운 앨범 제작으로 인해 오리지널 신곡은 "Breath", "Richard Cory", "집으로 빨리 가고 싶어" 3곡뿐이었고, 폴 사이먼이 8월에 발표한 솔로 앨범 『The Paul Simon Songbook』 수록곡을 다시 부르거나 다른 가수의 곡을 커버했다. 잭슨 C. 프랭크의 "Blues Run the Game"은 수록되지 않았고, "집으로 빨리 가고 싶어"는 싱글로, "꽃은 비에 젖지 않고"는 다음 앨범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1966년)에 수록될 예정이었다. 최종적으로는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 싱글 버전과 4월에 녹음된 2곡을 포함한 11곡이 수록된 앨범으로 1966년에 발표되었다.[10]
2. 1. 앨범 커버
앨범 커버 사진은 듀오가 카메라를 뒤돌아보며 길을 걷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사진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프랭클린 캐니언 공원에서 촬영되었다.[1] 그들이 착용한 중등학교 스카프는 영국 호른처치에 있는 더 캠피언 학교에서 가져온 것이다.[1] 이 학교는 폴 사이먼이 영국에 머무는 동안 머물렀던 브렌트우드 가문의 아이들이 다닌 학교였다.[1] LP 뒷면에는 듀오의 솔직한 사진과 각 노래의 가사 일부가 인용되어 있다.[1]오리지널 LP 커버 아트는 세 가지 버전이 있다.[1] 첫 번째 버전은 듀오의 이름을 한 줄에 모두 대문자로, 앨범 제목을 다른 줄에 모두 대문자로 표기하고, 곡 제목은 표기하지 않았다.[1] 두 번째 버전은 각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트랙 목록을 포함했다.[1] 세 번째 버전은 두 번째 버전과 동일한 앞면 커버를 사용했지만, 뒷면 커버에서는 아트 가펑클이 사진에서 들고 있는 ''타이거 비트'' 잡지 사본을 에어브러시로 지웠다.[1]
오리지널 LP 라벨에는 "Anji"가 "Angie"로 잘못 표기되었고, 1965년 데뷔 앨범에 이 곡을 녹음했던 버트 얀쉬에게 저작권이 돌아갔다.[1] 오리지널 LP 소매 뒷면에는 데이비 그레이엄이 작곡가로 제대로 표기되었지만 "Angie" 오기는 그대로 유지되었다.[1] 이 두 가지 오류는 후속 재발매에서 수정되었다.[1]
이 앨범의 구형 LP 및 CD 버전에서는 "The Sound of Silence"가 커버와 라벨 모두에서 "The Sounds of Silence"로, "We've Got a Groovy Thing Goin'"이 "We've Got a Groovey Thing Goin'"으로 표기되었다.[1]
3. 곡 목록
Side | No.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Side 1 | 1 |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 | 폴 사이먼 | 3:08 |
2 | 나무 잎은 녹색 | 폴 사이먼 | 2:23 | |
3 | 블레스드 | 폴 사이먼 | 3:16 | |
4 | 캐시의 노래 | 폴 사이먼 | 3:21 | |
5 | 아무데도 없어 | 폴 사이먼 | 2:37 | |
6 | 앤지 | 데이비 그레이엄 | 2:17 | |
Side 2 | 1 | 리차드 코리 | 폴 사이먼 | 2:57 |
2 | 매우 이상한 사람 | 폴 사이먼 | 2:34 | |
3 | 4월이 되면 그녀는 | 폴 사이먼 | 1:51 | |
4 | 힘내서 가자 | 폴 사이먼 | 2:00 | |
5 | 아이 엠 어 록 | 폴 사이먼 | 2:50 |
3. 1. 오리지널 버전
《Sounds of Silence》 음반의 오리지널 버전은 폴 사이먼이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곡을 작사/작곡했다. 이 음반은 1964년 3월 10일에 기본 트랙을 녹음하고 1965년 6월 15일에 오버더빙한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를 포함한다.Side one은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 〈Leaves That Are Green〉, 〈Blessed〉, 〈Kathy's Song〉, 〈Somewhere They Can't Find Me〉, 그리고 데이비 그레이엄이 작곡한 〈Anji〉로 구성되어 있다. Side two는 〈Richard Cory〉, 〈A Most Peculiar Man〉, 〈April Come She Will〉, 〈We've Got a Groovy Thing Goin'〉, 〈I Am a Rock〉을 수록하고 있다.
3. 1. 1. Side one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 | 폴 사이먼 | 3:08 |
2 | Leaves That Are Green | 폴 사이먼 | 2:23 |
3 | Blessed | 폴 사이먼 | 3:16 |
4 | Kathy's Song | 폴 사이먼 | 3:21 |
5 | Somewhere They Can't Find Me | 폴 사이먼 | 2:37 |
6 | Anji | 데이비 그레이엄 | 2:17 |
3. 1. 2. Side two
# Richard Cory - 2:57# 매우 이상한 사람 (A Most Peculiar Man) - 2:34
# April Come She Will - 1:51
# 힘내서 가자 (We've Got a Groovy Thing Goin') - 2:00
# I Am a Rock - 2:50
3. 2. 영국 버전
영국 버전은 Side two의 첫 곡으로 〈Homeward Bound〉가 수록되었다.제목 | 녹음 날짜 |
---|---|
Homeward Bound | 1965년 12월 14일 |
Richard Cory | 1965년 12월 14일 |
A Most Peculiar Man | 1965년 12월 22일 |
April Come She Will | 1965년 12월 21일 |
We've Got a Groovey Thing Goin' | 1965년 4월 5일 |
I Am a Rock | 1965년 12월 14일 |
3. 3. 2001년 CD 재발매 보너스 트랙
2001년 재발매된 CD에는 다음과 같은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제목 | 작곡 | 길이 |
---|---|---|
"Blues Run The Game" | 잭슨 C. 프랭크 | 2:55 |
"Barbriallen" (데모) | 전통 | 4:06 |
"Rose of Aberdeen" (데모) | 전통 | 2:02 |
"Roving Gambler" (데모) | 전통 | 3:03 |
4. 참여진
4. 1.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 오버더빙 참여진
5. 차트 기록
순위
순위